집을 빌릴 때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하나는 전세고, 다른 하나는 월세예요.전세: 한 번에 큰 돈(전세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기고, 월세 없이 사는 거예요.월세: 적은 보증금을 내고, 매달 일정한 돈(월세)을 내면서 사는 거예요.그런데 전세로 살다가 월세로 바꾸고 싶을 때, 전월세 전환율이라는 게 필요해요.이게 뭐냐면,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계산하는 비율이에요.전월세 전환율, 어떻게 계산할까?만약 집 전세보증금이 1억 원인데, 집주인이 "이제 월세로 바꿔볼까?" 하고 생각했어요.그럼, 집주인은 보증금 일부를 돌려주고, 그 대신 월세를 받겠죠? 예를 들어보면:원래 전세 1억 원이었어요.집주인이 5천만 원을 돌려주고, 월세를 받기로 했어요.매달 30만 원씩 월세를 내기로 했어요.그럼 전월세 전환율..
공인중개사의 확인·설명 의무 강화 1. 선순위 권리관계 설명이제 공인중개사는 임대차 계약 전에 임차인에게 임대인의 세금 체납 여부나 선순위 세입자의 보증금 등 중요한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줘야 해요. 예를 들어, 집주인이 세금을 얼마나 체납했는지, 다른 세입자들이 이미 보증금을 얼마나 냈는지 등을 다 알려주는 거죠. 이 모든 정보를 등기부등본이나 건축물 대장 같은 서류를 통해 확인하고, 임차인에게 설명해줘야 해요.2. 임차인 보호제도 설명또한 공인중개사는 임차인 보호제도도 설명해줘야 해요. 소액 임차인이 받을 수 있는 최우선 변제금이나, 임대보증금 보증제도 등에 대해 알려줘야 해요. 예를 들어, 만약 임대차 주택이 민간임대주택이라면, 그 주택이 보증 가입 의무가 있다는 것도 알려줘야 해요. 3. 중개보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