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하다보면 많은 돌발 사항이 생기죠 자금담당을하다보니 세금계산서가 잘못 발행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오늘은 수정세금계산서를 잘못 발행한 경우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희는 공급받는자이고, 공급자가 수정세금계산서를 잘못발행한 사례입니다. 결론은 당초 계산서가 발급기간 이내에 발행했더라면 가산세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일처리가 조금 복잡한데요 사례를 살펴볼까요? 사건의 전말 예를들어, 9월에 발생한 금액을 1,000,000원으로 발행해야하는데 900,000원으로 발행되었네요 10월 11일에 이 사실을 알아차렸고 바로 수정발행 요청드렸습니다. 9/30 1,000,000 (10/10 발행 및 전송) 9/30 -1,000,000(10/11 수정발행 및 전송) 9/30 900,000 (10/11 ..
사업자, 경리 세무회계 담당자분들을 위해 알려드립니다! 세금계산서 발급을 깜빡하고 11일 이후에 알아차린 적 있으신가요? 전자세금계산서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이에 대한 공급가액 및 부가세를 포함하여 거래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계산서! 적격증빙에 해당합니다. 예를들어 1월로 계산해보겠습니다 1월 1일~31일에 해당하는 거래 (작성일자)에 대한 세금계산서는 2월 10일까지 발급해야합니다. (10일이 빨간날인 경우 다음 영업일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1월에 해당하는 거래를 익월 11일이 지나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가산세가 나옵니다 정확히는, 부가세 신고할 때 가산세 항목에 기입하여 가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공급시기(=작성일자) 발급기한(=전송기한) 공급자: 지연발급가산세 1퍼센트..